同訓異字 썸네일형 리스트형 同訓異字 한자는 기본적으로 중국어를 읽기 위해 탄생한 문자 체계이므로, 일본어와 1:1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. 본 포스팅에서 다루는 同訓異字(どうくんいじ)는 한자와 일본어가 多 : 1 대응하는 경우이며, 반대로 한자와 일본어가 1 : 多 대응하는 경우 역시 존재한다. 「生」이 대표적으로 「生」에 대응하는 일본어는 158개이다. : Link同訓異字로 고민할 때는 보통 1. 가나로 표기하는 방법, 2. 대표 한자로 표기하는 방법, 3. 목록 중에서 적당한 한자를 골라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를 택한다. 문제는, 가나 표기는 많으면 많을수록 글의 가독성을 떨어뜨린다는 점, 한자에 따라서는 특정한 상황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는 한자가 있다는 점이다. 太陽は三分の一ほど右手の山に隠れ、景色は横に染まっている。蟬の鳴く.. 더보기 이전 1 다음